도서160 시인 김남열 신간시집 .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1680491 사명을 띠고 세상에 왔다 - YES24 머리말 인간은 이 땅에 올 때 사명使命을 띠고 태어난다. 그 사명으로 인하여 세상은 양적 질적으로 발전해 간다. 그 사명은 다양하다. 부모로서의 사명, 자식으로서의 사명, 부부로서의 사명,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1686064http://www.yes24.com/Product/Goods/111686064 내 마음에 있던 짐승 한 마리 - YES24 머리말 우리들은 스스로의 마음에 짐승 한 마리 키우며 살았다. 사람이 사람 인 것은 사람 짓 하기에 사람이다. 사람이 사람 짓을 못하는 것은 짐승과 같다. 2022. 7. 12. 시인 김남열 시'우리는 자연인 이다' . 머리말 우리는 자연인 이다. 자연처럼 살다가 자연처럼 돌아간다. 인과의 흔적을 묻지 말고 초연하게 그렇게 살아가야 한다. 그것은 세속에서 긴장하며 살다가 한번쯤 산과 들을 찾으면 평안을 느끼는 것을 보아도 알 수가 있다. 나는 홀로 고독을 즐기며 살아가고 고요한 오솔길 산책하길 좋아하며 꽃과 나무와 산과 새소리 좋아하고 그래서 내가 자연 속 일부임 깨닫네 - 시 ‘자연인 이다’ 중에서 - 아무리 많은 이기적 욕심을 가지고 살더라도 우리가 가지고 떠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인생이란 주어진 시간 속에 내 스스로를 오염시키지 않고 그래서 오염되지 않는 자연 속에 묻히는 것만으로도 다행스러운 일이다. 아니 많은 때가 묻었다고 한다면 털고서 떠나야 한다. 그 자연의 신성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면 세속에서의 티.. 2022. 7. 10. 시인 김남열 시'현대인의 병 불감과 고독' . 머리말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커다란 병은 불감과 고독이다. 그것이 생명 단축과 사망을 낳는다. 불감不感이란 사람이 어떤 대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며, 고독孤獨이란 사회나 사람으로부터 외롭고 쓸쓸함을 느끼는 것이다. 불감과 고독을 느끼는 것은 간접적이며 직접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이다. 간접적인 것은 사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에 의한 반복적인 것들에 의하여 중화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반복적인 것들에 의하여 ‘둔화’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것은 자신 스스로가 사회적 많은 현상들에 의하여 ‘회의’를 느끼면서 ‘기피’하게 되는 경우와 ‘무관심’으로 인하여 ‘불감’이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의하여 사람은 ‘정신적 불감’이 되어간다. 그.. 2022. 7. 10. 시인 김남열 시 '미치지 않으면 살 수가 없다' . 머리말 미쳐보자, 미쳐보자, 제대로 미쳐보자 빈자든, 부자이든 모두가 평등한 공중 권세 잡은 이든 그렇지 못한 이든 어우러져 미쳐보자, 미쳐보자 그래서 미치되 제대로 미쳐보자 위선의 미소는 사람의 영혼을 병들게 하며 위선의 비소는 자신의 잇속을 채우기 위한 걷은 천사의 모습, 속은 짐승의 모습 한 사람답지 못한 행위로 사람들 병들게 하는 모습이 아닌 진정한 사람다운 향기가 나게 미쳐보자, 미쳐보자 허구의 탈을 벗어던지는 사람 향기 나는 그런 모습으로 미쳐보자 겨울 날 하늘 나는 가치를 위하여 메마른 가지 위에 감하나 둘 다 따지 않고 남겨두던 여의한 시골 아저씨의 마음처럼 옛적 길가든 나그네 시골의 어느 집에 들러도 물 한잔 대접하며 그냥 보내지 않던 시골 아주머니의 넉넉한 순수하고 깨끗한 인심처럼 .. 2022. 7. 10. 시인 김남열 시집 '그리움이 깊어져 아픔이' . 머리말 그리움이 깊어져 아픔이 된다. 그립기에 너무나 사람이 보고파 하며, 아파하고 눈물 흘린다. 그립기에 사람은 고립되고 자아 중심적 사고를 가지는지 모른다. 사람은 언제나 자신을 우선으로 하고 타인을 생각한다. 언제나 우선이 자신이다. 바라다보는 대상이 무엇이든 간에 대상은 두 번째 존재이다. 어울리며 삶을 살아간다고 하지만 인간이란 존재는 세상에 나올 때 혼자였다. 후천적인 사회가 타인과의 관계성 속에서 둘 이라는 것을 알게 했다. 자기가 없는 개인은 없다. 그러기에 그리운 대상도 있는 것이다. 자기가 우선시 되지 않고는 타인도 없다. 단독자로 태어나 사람과 어울리다가 결국 단독자로 떠나는 존재! 꿋꿋한 나무 같으면서도 갈대와 같이 나약한 존재인 사람. 언제나 동전의 양면같이 항상 두 가지의 생.. 2022. 7. 6. 시인 김남열 시집 '현대인의 병 불감과 고독' .. 머리말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커다란 병은 불감과 고독이다. 그것이 생명 단축과 사망을 낳는다. 불감不感이란 사람이 어떤 대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며, 고독孤獨이란 사회나 사람으로부터 외롭고 쓸쓸함을 느끼는 것이다. 불감과 고독을 느끼는 것은 간접적이며 직접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이다. 간접적인 것은 사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에 의한 반복적인 것들에 의하여 중화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 반복적인 것들에 의하여 ‘둔화’되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것은 자신 스스로가 사회적 많은 현상들에 의하여 ‘회의’를 느끼면서 ‘기피’하게 되는 경우와 ‘무관심’으로 인하여 ‘불감’이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 의하여 사람은 ‘정신적 불감’이 되어간다. .. 2022. 7. 6. [신간시집]시인 김남열 [신간시집] 시인 김남열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0556293 미치지 않으면 살 수 없다 - YES24 머리말미쳐보자, 미쳐보자, 제대로 미쳐보자빈자든, 부자이든 모두가 평등한 공중 권세 잡은 이든 그렇지 못한 이든어우러져 미쳐보자, 미쳐보자 그래서 미치되 제대로 미쳐보자 위선의 미소는 www.yes24.com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0521793 현대인의 병 불감과 고독 - YES24 머리말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장 커다란 병은 불감과 고독이다. 그것이 생명 단축과 사망을 낳는다. 불감不感이란 사람이 어떤 대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www.yes24.com http://www.yes24.. 2022. 7. 6. 시인 김남열의 동인지 '돈 있는 사람 몸조심 해야 한다' . 머리말 세상 모든 사람이 자비로운 마음을 가지고 산다면 얼마나 좋을까. 세상의 모든 현상이 ‘인과율’에 의하여 돌아가지만 그 인과율의 중심에는 만물의 영장인 사람이 있다. 그러기에 세상은 사람에 의하여 움직여지고 사람에 의하여 발전해 간다. 그러나 이기주의적 생각이 팽배하다보니 항상 자기중심적인 생각은 타인을 아프게 하거나 고통을 주기도 한다. 그 이기주의적 생각이 사회를 혼란하게 하는 시대이다. 자기중심적인 생각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하려는 타자지향적인 생각으로 나아가는 세상이 될 때 세상은 평화가 올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나 스스로가 변해야 한다.’ 나 스스로 변화기 위해서는 스스로 수신하는 것도 있지만, 혹은 종교에 귀이하거나, 참선도 하지만 난 모두가 시인이 되는 것으로 주안점을 두고자.. 2022. 6. 28. 시인 김남열의 '우리는 자연인 이다' . 머리말 우리는 자연인 이다. 자연처럼 살다가 자연처럼 돌아간다. 인과의 흔적을 묻지 말고 초연하게 그렇게 살아가야 한다. 그것은 세속에서 긴장하며 살다가 한번쯤 산과 들을 찾으면 평안을 느끼는 것을 보아도 알 수가 있다. 나는 홀로 고독을 즐기며 살아가고 고요한 오솔길 산책하길 좋아하며 꽃과 나무와 산과 새소리 좋아하고 그래서 내가 자연 속 일부임 깨닫네 - 시 ‘자연인 이다’ 중에서 - 아무리 많은 이기적 욕심을 가지고 살더라도 우리가 가지고 떠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인생이란 주어진 시간 속에 내 스스로를 오염시키지 않고 그래서 오염되지 않는 자연 속에 묻히는 것만으로도 다행스러운 일이다. 아니 많은 때가 묻었다고 한다면 털고서 떠나야 한다. 그 자연의 신성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면 세속에서의 티.. 2022. 6. 28. 시인 김남열 신간시집 영상 https://search.kyobobook.co.kr/mobile/search?keyword=%EA%B9%80%EB%82%A8%EC%97%B4&orderClick=Ow4&isHttp=s 통합검색|교보문고 search.kyobobook.co.kr 2022. 5. 28. 김남열 시'웃음과 시' . 머리말 웃는 사람에게 누구나 호의적이며 웃는 사람에게는 무어라 나무랄 수 없으며 웃음은 남녀구별이 없이 밝게 하고 웃음은 모든 사람을 행복하게 만들고 웃음은 책속에서 배우는 것도 아닌 웃음은 언연 중에 웃게 만들며 웃을 거리가 있어서 웃기도 하나 아무런 이유 없이 웃기도 한다 웃음꺼리 없더라도 허허실실이라도 웃어보면 왠지 모르게 가슴에 막혀있는 무언가가 소화되는 듯 내려가는 것처럼 느껴지며 웃음은 자연 현상이며 웃음은 저절로 우러나오는 것이다 웃음이 없으면 세상이 너무 삭막할 것이며 웃음이 없으면 사람의 관계는 너무 딱딱 할 것이며 웃음이 없으면 어떤 어려움이 닥쳐오면 활력 또한 살아나지 않을 것이다 웃음은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청춘 남녀가 사이좋게 사랑을 나누는 곳에도 둥글게 둥근 마음으.. 2022. 5. 20. 김남열 시집 '불로초 사랑' . 머리말 기다림에는 애절함과 설렘이 있다. 기다리는 것은 인내의 의지가 요구된다. 기다림 속에 만나면 기쁨보다 황홀감을 맛보게 된다. 기다리면 꽃이 봉우리 맸고, 그 봉우리가 꽃이 피면 그 꽃이 피는 소리마저 듣게 된다. 기다림은 고요와 적막이 동시에 깔린다. 고요와 적막 속에 피어나는 아름다움은 단순한 아름다움이 아니며 신성이다. 조급함과 불안함이 기다림을 외면하는 시대에, 주위에 진정으로 관심을 가지고 제대로 눈 돌릴 시간 없는 시대에 어디 제대로 하늘 한번 쳐다볼 수 있는 여의함이 있겠는가. 핸드폰이 하늘이며 땅이 되는 시대에 빠른 소통이 요구되며, 기다리는 것은 바보처럼 느끼게 되고 기다림의 미덕이 유폐되어 버린 까닭에 사랑도, 애정도, 기쁨도, 슬픔도, 눈물도 인간의 유희도 인간 이기의 빠른 .. 2022. 5. 20.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